(정보제공 : 주폴란드대사관)
폴란드 주간 경제 동향('25.04.28.-05.05.)
가. PEJ, 웨스팅하우스-벡텔 컨소시엄과 계약 체결(4.28.)
ㅇ 원자력공사(PEJ)는 웨스팅하우스-벡텔 컨소시엄과 브릿지 계약(Engineering Development Agreement)를 체결하였음.
- 금번 EDA 계약에는 △원전 건설 준비, △행정 인허가 및 라이센스 취득, △부지 지질 조사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으며, 기존 ESC 대비 △대금 지급 방식 변경, △계약 이행에 대한 투자자 감독 강화, △작업 결과에 대한 검토 및 승인 절차 간소화 등이 개선
나. 2025-28년 중기예산구조계획 이행 보고서, 2025-29년 거시 전망 발표
※ (참고) EU 회원국은 EU 재정 규정에 따라 매년 4.30일까지 중기예산구조계획(Medium-Term Fiscal Structural Plan) 이행 보고서와 거시경제전망을 EU 집행위로 제출해야 하며, 이에 따라 폴란드 정부는 2025-28년 중기예산구조계획 이행 보고서 및 2025-29년 거시 전망을 채택
ㅇ (중기예산구조계획) 폴란드는 순 지출 경로(Net Expenditure Path)*를 통해 2028년 재정적자를 GDP의 3% 미만으로, 2028년 국가부채를 GDP의 60% 미만으로 감축하고자 함.
* 한 해의 공공 지출 중 일부 항목(부채 이자, EU 공동재정으로 보조된 지출, 순환 지출 등)을 제외한 순 지출의 연간 증가 허용 한도를 의미함. 회원국의 중기 재정 건전성 확보와 과도한 재정적자의 점진적 해소를 목표로 설정되며, EU 집행위와 유럽재무장관회의(ECOFIN)에 의해 평가 및 승인
- 2025년 순 지출 증가율(5.8%)은 EU 권고 대비 0.5%p 낮을 것으로 전망
- 2024-25년 순 지출 경로 예측
2024년 | 2025년 | |
EU 이사회 권고 | ||
1a. 연간 증가율 | 12.5% | 6.3%** |
2a. 누적 증가율* | 12.5% | 19.6% |
실적(2024년)/예측(2025년) | ||
1b. 연간 증가율 | 12.7% | 5.8% |
* 누적 증가율은 2023년 대비 누적 변화를 의미함. 예를 들어, 2025년의 누적 증가율 19.2%는 2023년 대비 2년간 누적된 증가율임.
- (탈출 조항* 활용 예정) 또한 폴란드는 국방비 지출 증가에 따른 재정 유연성 확보를 위해 2025년 탈출 조항을 활용할 예정
* 정치·경제적 위기 또는 외부 충격이 있을 경우 한시적으로 권고된 지출 경로를 초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예외 규정으로 GDP의 최대 1.5%p까지 지출 증가 허용을 받을 수 있는바, 폴란드는 이를 활용하여 국방비 지출 증가에 대응할 계획
ㅇ (2025년 거시 경제 전망) △민간 소비 회복, 국방 투자 증가, 국가재건계획(KPO) 기금 유입 등으로 인해 경제성장률 3.7%를 기록할 것으로 보임.
경제성장률 | 물가상승률 | 실업률 | 재정적자 | 국가부채 |
3.7% | 4.5% | 3.0% | GDP의 6.3% | GDP의 57.8% |
/끝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