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정보제공 : 주튀니지대사관)
튀니지 주간 경제 동향 ('25.04.25.-05.02.)
ㅇ (세계은행, 주재국 고등교육 분야에 9.6천만 유로 지원) Samir Abdelhafidh 주재국 경제기획부 장관은 Washington D.C.에서 4.21-26 개최된 WB·IMF 춘계 총회 참석 계기 주재국 고등교육 분야 혁신 및 대졸자 취업 탄력성 강화 사업(STEEIR) 추진을 위해 WB와 4.26(토) 9.61천만 유로 상당의 재정지원 협약(8년 거치, 상환기간 28년 조건)을 체결함.
- 동 회의 참석 계기 Abdelhafidh 장관은 WB 산하 국제금융공사(IFC), 미국 국제개발금융공사(DFC), 미국 수출입은행 및 JICA의 금융담당 고위직 인사들을 면담, 재생에너지, 디지털화, 식량안보, 로지스틱스 등의 분야에서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및 대튀니지 투자 증대에 대해 의견 교환
ㅇ (유럽투자은행, 식수공급 역량 강화 사업에 3천만 유로 지원) 유럽투자은행(EIB)은 4.28(월) 주재국 △수도권 지역(수도공사 SONEDE에 2.2천만 유로 지원) 및 △Tunis Financial Port*(튀니지 정부에 8백만 유로 지원)의 식수공급 역량 강화 사업에 총 3천만 유로를 지원, 대출 협약을 체결(Loannis Tsakiris EIB 부총재와 Samir Abdelhafidh 주재국 경제·기획부 장관이 서명)함.
* Greater Tunis의 일부인 Ariana 주의 Elhessyene 소재
- 튀니지 정부를 지원하는 ▲국가신용 대출 8백만 유로는 상환 기간 30년, 거치 6년 조건, ▲수도공사 대상 2.2천만 유로는 EIB의 신용보증으로 상환 기간 22년 거치 6년 조건으로 각각 체결
- 2.2천만 유로 신용보증으로 주재국은 수도권 식수공급을 보장하는 수자원 처리 단지를 Bejaoua 지역에 조성할 계획이며, 동 사업은 EIB와 프랑스 개발청(AFD)의 9.2천만 유로 공동 출자로 추진 예정
※ EIB는 1979년부터 주재국에 70억 유로 상당의 대출을 지원한바 있으며, 이중 18억 유로는 2017년부터 혁신, 지속가능개발, 환경, 수자원. 에너지 등 주재국의 구조적 개혁이 필요한 분야에 집행
- 한편, EIB는 EU가 지원하는 5백만 유로를 품질, 지속가능성 및 탄력성이 보장되는 장기 개발사업(주재국 경제기획부의 신규 공공투자 계획) 분야에 집행 예정
ㅇ (아프리카개발은행, 기후 탄력성·농촌 생태계 복원 분야에 1.7천만 달러 지원) AFDB는 최근 주재국의 농림 진흥훼손 산림 재생 사업(PARFD)*에 1.7천만 달러 지원(기후변화 대응 기금)을 승인, 생태계 복원 및 지속가능한 경제·사회적 부의 창출에 기여할 예정임. (Malinne Blomberg AFDB 북아프리카 부총재 4.24(목) 발언)
* Projet de Promotion de l’Agroforesterie et de restauration des Paysages Forestiers Degrades
- 총 사업 규모 2.37천만 달러 중 6백만 달러는 튀니지 정부, 66만 달러는 사업 수혜 농가(Beja, Siliana, Bizerte 주)가 각각 출자 예정이며, 2030지속가능개발 국가전략 사업 중의 하나인 동 사업을 통해 탄소배출 45% 감소 및 녹색 일자리 4,500개 창출 목표.
ㅇ (일본,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약 1.4천만 달러 보조금 지원) 일본은 Sidi Bouzid주 소재 100MW 용량의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최대 20억 옌(약 1.4천만 달러) 보조금 지원을 발표함. (일본 대사관 4.25(금) 보도자료)
- 동 사업은 튀니지 정부와 전력가스공사(STEG)가 2025년 3월에 체결한 계약에 따라 일본·노르웨이 합작회사가 시공 예정이며, 일본 정부의 보조금은 일본·튀니지 정부가 2022년 8월 TICAD8에서 서명한 탄소배출권 거래 메커니즘(CCM)에 따라 제공되며, 이미 건설 중인 두 개의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(Sidi Bouzid 및 Tozeur)에 이어 세 번째
ㅇ (동남아프리카공동시장 경쟁위원회들간 협력 의정서 체결) 주재국에서 4.28(월)-30(수)간 개최된 COMESA 회원국들의 지역 회의에서 주재국을 포함한 각국 경쟁위들간의 협력 의정서가 체결되었으며, 주재국 통상·수출진흥부 경쟁 국장은 현 세계 경제의 흐름 및 도전과제(공급망 불안정, 보호무역조치, 국경을 초월한 반경쟁적 관행 등)에 비추어 볼 때 아프리카 경제공동체들의 공통된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, 협력의정서 체결 취지를 설명함. 끝.